도서 소개
작품정보
증산도의 후천 선사상은 인간이 우주만물과 하나가 되어 영원히 살 수 있는 길을 모색합니다. 증산도에서 선仙은 단순히 유불선의 선仙이 아닙니다. 후천의 선도仙道를 중심으로 하여 선천의 유불선 삼교를 초월하면서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불선의 모체로서 인류 태고 시대의 원형문화인 신교의 선사상과 동학에서 좌절된 지상신선의 꿈을 완성하려는 참동학의 선사상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한국 선도의 새로운 부활을 꿈꾸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선의 원시반본原始返本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 추천사 중에서-
간행사 / 4
추천사 / 9
한국의 신선사상과 발해인 이광현의 『참동계』 연단술.............................15
이봉호
1. 들어가는 말 .... 17
2. 신선 사상과 삼신산 ..................... 21
3. 신선의 추구와 연단술 ................. 29
4. 이광현의 『참동계』 연단술 ......... 34
5. 맺는 말 ............40
부록 : 청하자 권극중의 삼신산가 . 45
조선조 유학자들의 신선문화에 관한 연구 ...................59
조민환
1. 들어가는 말 .... 61
2. 신선 존재 부정과 불로장생 비판 .............................64
3. ‘신선처럼 산다’는 것의 의미 ..... 73
4. 인경人境에서의 신선 추구적 삶 지향 ....................... 78
5. ‘선경불원인仙境不遠人’ 사유 ........ 85
6. 맺는 말 ............ 92
조선 시대 회화에 나타난 팔선 .......95
넬리 루스
1. 들어가는 말 .... 97
2. 배경 .................. 99
3. 팔선의 한국으로의 전래 ...........102
4. 조선 시대의 팔선도 ...................107
5. 맺는 말 ..........118
조선 후기 [신선도神仙圖]의 전개 양상과 도교적 생명관.........................123
김정은
1. 들어가는 말 ..125
2. 조선 후기 사회와 [신선도神仙圖]의 유행 .............127
3. 조선후기 [신선도神仙圖]의 전개 양상 ...................130
4. 조선후기 [신선도]의 도교적 생명관 ....................143
5. 맺는 말 ..........149
한국의 산신문화 한국의 선문화仙文化 ......................153
데이비드 A. 메이슨
1. 한국산신 소개 .............................155
2. 불교 사찰에 있는 산신각의 옛 형태 .....................171
3. 삼성각 사당의 등장 양식 .........175
4. 이 변환에서 찾은 의미 ..............180
5. 맺는 말 ..........183
한국 고유의 선仙 사상과 증산도의 태일선太一仙 .......189
황경선
1. 들어가는 말 ..191
2. 한국 선의 특질에 대한 선행 연구 .........................196
3. 인즉선과 하느님 신앙 및 성통공완 ......................204
4. 참동학의 선 태일太一 .................213
5. 맺는 말 ..........224
조화정부와 후천 선문화 ...............227
윤창열
1. 들어가는 말 ..229
2. 조화의 개념 ..232
3. 조화정부란 무엇인가 ................244
4. 조화정부의 구성 .........................248
5. 증산도와 선仙 ..............................268
6. 김호연 성도에게 붙인 선매숭자仙媒崇子 도수 ......274
7 증산도 선仙의 특징 ....................282
8 맺는 말 ..........286
관왕 삼교론과 지상신선 ...............289
원정근
1. 왜 증산도의 후천 선사상인가 ...............................291
2. 한국선과 중국선-불사와 장생의 만남 ...............294
3. 증산도의 선과 조화 ...................308
4. 관왕 삼교론 314
5. 후천의 지상신선을 위하여 ......322
번역 원문
The Sanshin Culture of Korea .....327
By Professor David A. Mason
1. Introduction to Korean Mountain-Spirits ...... 329
2. The Older Style of Sanshin-gak Shrines in Buddhist Temples..... 340
3. The Emerging Style of Samseong-gak Shrines 345
4. Significance Found in this Transformation .... 350
5. Conclusion: Modern Flourishing of Folk Traditions and Oriental Philosophical Concepts within Korean Buddhist Temples......... 354
The Eight Immortals in Joseon Dynasty Painting ...361
Nelly Georgieva-Russ
1. Introduction ....................... 363
2. Introduction of the Eight Immortals to Korea............................... 366
3. Group Images of the Eight Immortals in the Joseon Dynasty .... 371
4. Conclusion .......................... 380
Nelly Russ
불가리아 태생의 고고미술사학자
러시아의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미술사학과를 졸업하였고 상트
페테르부르크시 소재 유럽 대학교에서 같은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
다. 그 후 한국으로 건너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국학과 석사과정, 문화
예술학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유럽 한국학 학회지의 「한국의 회화와 문학에서의 여동빈의 양상」 등 국내외
주요 학술회의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하였는데, 그녀의 관심분야는 한국고고
미술, 회화에 나타난 한국 도교, 한국 불교미술이다.
현재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초빙교수로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와 중앙대학교에서 각각 러시아어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 고려대, 중앙대 강사
논문
Facets of Lu Dongbin in Korean Painting and Literature, European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20, No. 1 (2020), pp. 85-133
김정은
성균관대학교 藝術哲學 博士
단국대학교 대학원 繪?科(東洋畵) 碩士
인문예술 연구소 선임연구원.
瓷楣 예술 창작 아카데미 대표.
경기대학교 강사역임.
논문
朝鮮 後期 <瑤池宴圖>에 표현된 生命觀(博士學位 論文)
朝鮮 後期 <十長生圖>에 내재된 생명관(韓國 民畵學會)
朝鮮 後期 <神仙圖>에 내재된 生命觀 (韓國 東洋 藝術學會)
朝鮮 後期 <瑤池宴圖>의 成立과 流行(韓國 道敎文和學會)
朝鮮 後期 <瑤池宴圖>의 西王母 상징과 그 의미(韓國 道敎文和學會)
朝鮮時代 <十長生圖>에 내재된 哲學的 사유(한국 국학진흥 연구)
데이비드 메이슨 (David A. Mason)
서울 세종대학교 한국문화관광학과 교수
지금까지 39년 동안 이 일반적인 주제와 신성한 산, 풍수(geomancy), 한국
종교, 민속 및 역사적 인물과 같은 연관된 지표를 연구했으며 작업을 진행하
는 중이다.
저자는 한국 문화 및 관광에 관한 많은 책과 기사를 출판했다.
작품은 『산신령: 한국의 산신과 산 숭배의 전통(1999)』과 저자의 광범위한
웹사이트 www.san-shin.org가 포함된다.
황경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박사.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주요 논저
『천부경과 신교사상』
『보천교 다시보다』(공저)
『우주의 교향곡, 천부경』(공저)
「존재론적 관점으로 본 『중용中庸』의 중中 개념」
「우리말 ‘한’으로 본 「천부경」의 일一 개념」
「하이데거에서 고요함(Ruhe)의 문제」
「하이데거에서 존재에 대한 상응(Entsprechung)」
「파르메니데스 해석을 통해 하이데거 읽기」
「삼일신고(三一神誥)와 수운(水雲)의 동학」
「천부경에서 개벽과 인간의 문제」
「하이데거와 천부경에서 일자一者의 문제」
「상제와 우주생명」
「증산도의 생명사상」